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재산세 납부방법 과세대상 과세기준(2025년)
    재산세 납부방법 과세대상 과세기준(2025년)

     

    5월 종합소득세를 납부하신 후 얼마 지나지 않아 7월에는 또 다른 세금, 재산세 납부 시즌이 돌아옵니다. 특히 개인사업자, 자산 보유자 분들께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시기죠. 하지만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으면, 기한 내 납부 및 절세 전략으로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방법에 대해 처음 하시는 분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재산세를 언제 내는지 얼마를 내야되는지 확인을 원한다면 지금 확인하세요!

     

     


    ✅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재산세란 주택, 건축물, 토지, 선박, 항공기 등 재산을 보유한 자에게 매년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소유자 기준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시·군·구)**에서 부과하며,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보유 여부를 판단합니다.

    📌 재산세는 국세가 아니라 지방세이기 때문에 납부 시 '위택스(WeTax)' 또는 '서울시 ETAX'를 통해 진행해야 합니다.

     


    💻 재산세 납부방법 (위택스 기준)

    1. 위택스 접속
      👉 https://www.wetax.go.kr
    2. 로그인 (공동인증서 or 간편 로그인)
    3. [납부하기] 메뉴 → [지방세 조회/납부] 클릭
    4. 자동으로 본인의 재산세 내역이 조회됨
    5. 계좌이체 / 카드결제 /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등) 선택
    6. 납부 완료 확인증 출력 가능

     

     

     

    💡 서울시 거주자는 서울시 ETAX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납부 가능합니다.


    💡 재산세 절세 방법 TIP

     

    재산세 절세 방법 TIP
    재산세 절세 방법 TIP

     

    1. 6월 1일 이전 매도 전략
      → 보유 부동산을 매도할 계획이라면 5월 말까지 소유권 이전을 완료해야 세금 회피 가능.
    2. 공동명의 활용
      → 1세대 1주택 기준 완화 조건에 해당되면 세액 감면 가능. 부부 공동명의가 유리할 수 있음.
    3. 주택 수 줄이기
      → 다주택자일 경우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증가하므로, 필요 없는 주택은 정리하는 것이 유리.
    4. 전자 고지 할인
      → 일부 지자체는 전자고지 신청 시 할인혜택(예: 서울시 150~500원) 제공.
    5. 자동이체 신청 시 세액공제 혜택

    🏠 과세대상은 무엇인가요?

     

    과세대상은 무엇인가요?
    과세대상은 무엇인가요?

     

     

    재산세는 아래 자산을 6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구분                                      과세대상

     

    주택 아파트, 빌라,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
    건축물 상가, 공장, 창고 등 건축물 전체
    토지 나대지, 잡종지, 농지, 임야 등
    선박 요트, 어선 등 일정 톤수 이상 선박
    항공기 개인용/사업용 항공기 등
     

    📆 2025 재산세 납부 시기

     

    2025 재산세 납부 시기
    2025 재산세 납부 시기

     

     

    재산세는 2회 분할 납부가 원칙입니다. 다만 주택에 한해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7월에 일괄 납부도 가능합니다.

     

    납부 기간                                                                                       대상 자산

     

    1기분: 7월 16일 ~ 7월 31일 주택(50%), 건축물, 선박, 항공기
    2기분: 9월 16일 ~ 9월 30일 주택(잔여 50%), 토지
     

    💡 20만원 이하의 재산세는 7월에 일괄 납부하게 됩니다.


    📌 과세기준일은?

     

    과세기준일은?
    과세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이 과세기준일입니다.

    • 6월 1일 이전에 매도하면 세금 X
    • 6월 1일 보유 중이면 세금 O (단 하루만 소유해도 부과)
    • 6월 1일 당일에 매수하면 세금 O

    📝 부동산 계약 또는 등기를 계획 중이라면 과세기준일을 고려해 거래일을 조율하는 것이 절세 전략에 도움이 됩니다.


    📄 재산세 납부 시 필요서류

     

    재산세 납부 시 필요서류
    재산세 납부 시 필요서류

     

    재산세 납부 자체에 필요한 서류는 많지 않지만, 아래 사항을 확인해 두면 원활한 납부가 가능합니다.

    • 위택스 또는 서울시 ETAX 회원가입 정보
    • 공인인증서(간편인증 가능)
    • 납부 고지서(우편 or 전자 고지 가능)
    • 본인 명의의 계좌 or 카드

    ❗ 재산세 납부 지연 시 불이익

     

     

    • 3% 가산금 부과
    • 일정 금액 초과 시 압류 및 체납처분
    • 신용점수 하락, 대출 등 불이익 가능

    📌 정해진 기간 안에 꼭 납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마무리

     

     

    재산세는 자산이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며, 납세는 국민의 의무입니다. 하지만 정확히 알고 대처하면 절세와 불이익 방지가 가능합니다. 이번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에는 여유롭게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